해피채고의 영문학과 인문학 나들이
아이러니의 종류 : 언어상의 아이러니, 극적 아이러니, 구조적 아이러니,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 우주적 아이러니, 낭만적 아이러니 - 예시와 함께 알아보기 / verbal irony, dramatic irony, structural i.. 본문
아이러니의 종류 : 언어상의 아이러니, 극적 아이러니, 구조적 아이러니,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 우주적 아이러니, 낭만적 아이러니 - 예시와 함께 알아보기 / verbal irony, dramatic irony, structural i..
영문학석사 2020. 5. 15. 11:03문학 작품에서는 수많은 아이러니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러니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아이러니의 종류는 크게 언어상의 아이러니(verbal irony), 극적 아이러니(dramatic irony), 구조적 아이러니(structural irony),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Socratic irony), 우주적 아이러니(cosmic irony; the irony of fate), 그리고 낭만적 아이러니(romantic irony)가 있다.
아이러니의 종류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기 전에, 과연 아이러니란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아야 한다. 아이러니의 기본적인 정의는 단어들이 글자 그대로 드러나는 의미의 반대를 표현하도록 사용되어지는 것을 말한다. 간단히 말해, 단어들의 반어적인 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러니라는 말 자체에는 '남을 속인다'라는 뜻이 들어 있다. 곧, 단어들이 언어상으로 표현된 자의적 의미 대신에 그 반대를 진실로 가진다는 사실을 함축한다. 아이러니에는 '말해진 것(what is said)'과 '의미하는 것(what is meant)'사이의 긴장과 대조, 혹은 갈등이 존재한다.
- 언어상의 아이러니(verbal irony)
언어상의 아이러니란 화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함축적인 의미가 그가 표면적으로 사용하는 진술과 다른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실수를 많이 한 신입사원에게 회사 상사가 '너 참 잘했다'라고 하는 것이 바로 언어상의 아이러니이다. 아이러니는 몇 마디 속에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에 작가는 언어상의 아이러니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실제보다 상황을 축소해서 말하는 understatement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 극적 아이러니(dramatic irony)
극적 아이러니란 어떤 일의 결과가 등장인물들이 예상한 것과는 다르게 전개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극적 아이러니는 비극의 아이러니(tragic irony), 소포클리즈의 아이러니(Sophoclean irony), 혹은 상황의 아이러니(irony of situatio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극적 아이러니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어떤 말이나 행동의 진정한 의의(significance)는 관객들 혹은 독자들만이 알 수 있다. 다시말해, 작품 속 등장인물은 자신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알지 못하지만, 관객과 작가는 이를 공유하게 된다. 등장인물의 행동이 그의 의도와 뒤바뀌는 것 또한 극적 아이러니의 한 형태이다. 즉, 등장인물이 어떤 일을 성취하려고 하다가 그것과 정반대의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예시) 소포클레스(Sophocles)의 "오이디푸스 왕"에서 오이디푸스의 아내 조카스터는 오이디푸스를 안심시키기 위해 라이오스 왕이 죽었을 당시의 이야기를 해주지만 이는 조카스터의 의도와는 반대로 오이디푸스의 불안을 확신으로 바꿔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극적 아이러니는 주로 비극에서 발생하지만 희극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예시) 셰익스피어의 "제12야"에서 말볼리오는 가짜 편지 때문에 아주 기뻐하지만, 관객들은 그 편지가 가짜임을 이미 알고 있다. 즉, 관객들만이 그 가짜편지가 가지는 진정한 의미를 알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극적 아이러니는 관객, 혹은 독자들이 그 극의 전체 의미를 깨닫도록 그들을 이끌어준다.
- 구조적 아이러니(structural irony)
구조적 아이러니는 작가의 반어적인 의사가 관객들 사이에서는 이미 공유되고 있으나, 화자에게는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 나타난다. 구조적 아이러니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방편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구조적 아이러니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 작가가 순진한 주인공(naive hero)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이 순진한 주인공은 순진하고, 단순하며, 낮은 지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자신들의 순진성, 단순함, 낮은 지능을 끈질기게 내세우며 사태를 풀이하는데, 모든 것을 알고 있는 독자, 혹은 관객은 이러한 순진한 persona 뒤에 있는 작가의 함축적인 메시지를 파고들어 순진한 주인공의 사태에 대한 풀이를 끈질기게 변경하고 정정하도록 촉구 받는다. 이러한 구조적 아이러니는 작품 전체에 길게 지속되는 아이러니로써, 아이러니가 확대되어 작품의 전체를 위한 골격과 형식을 마련해준다.
예시) 18세기 영국의 의사 서사시체(mock-epic)에서 많이 나타났다.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드라이든의 "압살롬과 아키토펄", 포프의 "머리타래의 겁탈(The Rape of the Lock)" 등은 모두 아이러니가 작품 전체에 확장되어 있으며, 이 아이러니가 풍자와 합해져 있다.
-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Socratic irony)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란 작품 속 화자가 무지와 미련함의 가면을 쓰고 얼핏 보기에 천진난만하고 무해한 질문들을 함으로써 상대방의 입장을 약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그가 잘못을 인정하고 진실을 깨닫게 만드는 아이러니를 말한다.
- 우주적 아이러니(cosmic irony; the irony of fate)
우주적 아이러니는 주인공이 근거없는 희망을 가지게 하다가 결국에는 그 주인공을 좌절시키고 조종하도록 사건들을 전개시켜 나가는 문학 작품들을 말한다.
- 낭만적 아이러니(romantic irony)
낭만적 아이러니는 작가가 예술적으로 그만의 환상을 쌓아 올렸다가, 후에 자신이 예술가로서 등장인물들의 성격과 행동들을 멋대로 꾸며 내었다는 사실을 맑힘으로써 그 환상을 무너뜨리는 형태의 글을 말한다.
예시) Byron의 "Don Juan"에서 등장인물은 독자들이 그의 말을 믿게 만들었다가 후에, 그것이 꾸며 낸 말이며 어떻게 그것을 계속할지 결정 하지 못했다는 것을 털어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