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2)
해피채고의 영문학과 인문학 나들이

IBT 토플이란 인터넷 기반의 시험으로 수험생이 대학 수준의 영어실력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영역을 모두 평가하는 통합 시험으로 수험생이 대학 수준의 학습을 해나갈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총 120점 만점으로 구성되는 이 시험은 난이도가 쉽지 않기 때문에 통상 100점을 넘기면 좋은 성적을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 테스트하는 네 가지 영역 중 어느 한 부분에 비중이 더 쏠린 곳 없이 각 파트를 30점씩 점수를 나누어 매긴다. 그러나 , 말하기와 쓰기의 경우 통합형 문제가 나와, 특정 지문을 듣거나 읽고 말하는 문제 혹은 쓰는 문제 또한 출제된다. 구입 계기 토플을 공부해보려고 산 책은 아니었고 다른 영어 관련 시험을 준비하다가 토플 수준의..

돈호법(apostrophe) 사람이 아닌 추상적인 개념, 무생물, 이미 사망한 사람, 그 장소에 없는 사람 등이 마치 그 현장에 존재하며, 화자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것처럼 부르는 수사법을 말한다. 다시 말해, 화자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이나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물건이나 사람에게 말하듯이 이야기하는 것을 돈호법이라고 부른다. 수사학적 질문(rhetorical question) 어떠한 물음에 대한 대답이 너무나 명백하기 때문에 대답을 요구하지 않는 질문을 수사학적 질문이라고 한다. 수사학적 질문은 화자나 글쓴이의 말을 강조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한 대화나 글에서 많이 사용된다. 수사학적 질문이 가지는 특징에는 그 질문이 답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대답이 자명한..

민병철 유폰으로 전화영어를 시작한 것은 작년(2019) 12월 말부터니까 지금은 6개월 정도를 수강하고 있는 셈입니다. 전화영어는 민병철 유폰이 처음이라 다른 업체들은 별로 알아보지 않고 시작했다는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민병철 유폰 시작 계기 말하기 연습을 위해 쉐도잉을 하기는 했지만 실제 말하기에서 이것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테스트해 볼 기회가 없었고, 아무래도 영어를 말하는 것 자체가 어색하다는 느낌도 있어서 영어 말하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이고 싶었습니다. 전반적인 영어 말하기 실력도 높이고 싶었기에 주저하지 않고 바로 무료 테스트를 신청했고 그때부터 수강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전화 영어를 시작하고, 연말과 연초에 이것저것 계획을 세우면서 오픽 테스트를 응시해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사실 ..

◈ 길포드(Guilford)의 지능 구조모형(Structure of Intellect : SOI) SOI(Structure of intellect) 이론 : 길포드는 Thurstone의 제시했던 7가지 기본정신능력을 확장해, 지능 구조모형을 제안하였다. 길포드는 기존의 전통적인 지능검사가 기억력과 같은 지적 기능은 지나치게 강조하는데 비해, 확산적 사고방식 등을 무시했다고 말한다. 전통적인 지능 이론들의 일차원적인 지능은 두 개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사고를 해야 하는 확산적 사고방식에 적합한 설명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는 지능을 일차원적 관점이 아닌,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려는 시도를 했다. 지능 모형 : 다차원적인 인간의 지능은 내용 차원, 조작 차원, 산출 차원의 세 가지 영역이 상호 독립적인 ..

인간발달의 원리 인간은 지적 특성, 신체적 특성, 정의적 특성을 가지는데, 인간의 발달은 이러한 특성들의 발달과 함께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간의 발달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그 안에는 몇 가지의 원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의 발달 원리를 아는 것은 인간발달 현상을 이해하고 인간이 어떤 과정을 거쳐 성장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여러 학자들이 주장한 인간발달의 원리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발달은 생득적인 유전과 후천적인 환경의 상호작용을 거쳐 이루어진다. 임신 당시의 인간은 매우 조그만 단세포에 불과하다. 그런데 이 세포 속에는 수천 개의 유전인자가 들어있으며 그것이 태아의 특정과 성장의 계열을 결정한다. 그러나 생득적인 유전인자가 한 인간의 기본적 속성과 성장의 계열을 결정..

◈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발생학적 인식론에 근거하여 인지능력이 어떻게 발생하는가에 대한 인식론에 관심이 있다. 따라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주변을 인지하고 사고하는 능력이 어떤 경로와 과정을 거쳐 구조적으로 변화하는지에 대한 질적 접근을 제시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피아제는 인지발달을 동화와 조절이라는 인지 작용을 통해 평형화에 이르는 과정이라고 했다. 이때, 동화란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용해 확장하는 것을 말하며, 조절이란 이 도식을 새로운 정보에 맞게 수정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평형화란 동화와 조절을 거쳐 도식을 다시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성을 말한다. 다시 말해,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사고 수준과 경험인 도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지능에 대한 심리측정적 접근은 정신능력에 있어서 개인차를 강조하고 지능을 구성하는 요인들의 개인차와 관련하여 지능을 이해하려고 하였다. 지능 연구 초기에는 지능이 단일한 개념으로 인식되어 오다가 전통적인 지능검사들이 측정하고 있는 지적 영역이 너무 협소함을 주장하면서 L. L. Thurstone이나 J. P. Guilford와 같은 학자들이 지능은 여러 개의 독립된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다중지능을 이론화하기 시작했다. Spearman의 일반 요인설 Spearman은 모든 지적 능력이 한 가지 핵심적 요인을 공유하고 있다고 보았으며 이를 일반 정신능력, 즉 G요인이라고 하였다. G요인은 인간이 행하는 모든 지적인 과제 수행, 즉 일반적인 지적 과제 수행에 관여하며, 이러한 G요인 이외에 특정한 과제 수..

정신분석 비평(Psychoanalysis Criticism) 정신분석 비평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미켈란젤로의 모세상"과 "세 개의 작은 상자의 테마"와 같은 문학과 예술에 대한 다양한 에세이를 집필한 데서 시작된다. 그 에세이들과 그 밖의 저작에서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발견에 비추어 문화를 해석하는 작업을 창시했다. 예설 작품에 대한 프로이트의 관심은 본질적으로 심리학자의 관심에 기반했고, 그러므로 문학과 관련된 그의 에세이의 대부분은 문학이 어떻게 일정한 심리기제의 작용을 드러내는가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과 예술 작품의 자연적 친화성을 간파했고, 그는 그것에 대해 반복해서 언급했다. 정신분석 비평의 활용 프로이트는 정신분석 비평의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중..

비극이란 희곡의 한 종류이다. 희곡(drama)이란 극장이나 무대에서 공연하기 위해 쓰인 문학의 형식으로, 배우들이 각각 배역을 맡아 희곡에서 지시된 연기와 대화를 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비극(tragedy)과 희극(comedy)은 희곡의 중요한 유형이다. 비극(tragedy) 문학적인 의미의 비극이란 극작품의 주인공(protagonist)에게 큰 재난과 고통을 초래하는 중요한 행동들을 문학적이고 극적으로 재현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문학적인 의미에서, 비극 안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은 실제로 발생하는 사건이 아닌, 허구적인 것으로 비극은 하나의 예술 형식이다. 극작품 속 비극의 희생자(tragic victim)는 자신에게 일어나는 상황을 늘 알고 있으며, 그는 그것으로 인해 고통을 겪고, 또한 그 고통..

구조주의는 1950년대와 1960년대 프랑스에서부터 그 중요성을 입증한 복합적인 사상운동이다.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까지 롤랑 바르트와 같은 사상가들의 작업은 언어학자와 문학비평가들 사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구조주의의 토대는 대부분 언어 이론을 기초로 한다. 스위스의 언어학자 소쉬르는 언어의 차이는 체계에 있다고 주장하며 구조주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다음은 구조주의의 공헌, 문학연구, 영향을 바탕으로한 구조주의 이론의 특징과 개념이다. 구조주의 이론 : 특징, 공헌 현대 사상에 구조주의가 공헌한 것 중 하나는 모든 인간 활동은 자연적이거나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관습의 체계가 그 체계 속에 정렬되어 있는 특정한 내용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