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문학 (11)
해피채고의 영문학과 인문학 나들이

◈ 길포드(Guilford)의 지능 구조모형(Structure of Intellect : SOI) SOI(Structure of intellect) 이론 : 길포드는 Thurstone의 제시했던 7가지 기본정신능력을 확장해, 지능 구조모형을 제안하였다. 길포드는 기존의 전통적인 지능검사가 기억력과 같은 지적 기능은 지나치게 강조하는데 비해, 확산적 사고방식 등을 무시했다고 말한다. 전통적인 지능 이론들의 일차원적인 지능은 두 개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사고를 해야 하는 확산적 사고방식에 적합한 설명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는 지능을 일차원적 관점이 아닌,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려는 시도를 했다. 지능 모형 : 다차원적인 인간의 지능은 내용 차원, 조작 차원, 산출 차원의 세 가지 영역이 상호 독립적인 ..

인간발달의 원리 인간은 지적 특성, 신체적 특성, 정의적 특성을 가지는데, 인간의 발달은 이러한 특성들의 발달과 함께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간의 발달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그 안에는 몇 가지의 원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의 발달 원리를 아는 것은 인간발달 현상을 이해하고 인간이 어떤 과정을 거쳐 성장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여러 학자들이 주장한 인간발달의 원리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발달은 생득적인 유전과 후천적인 환경의 상호작용을 거쳐 이루어진다. 임신 당시의 인간은 매우 조그만 단세포에 불과하다. 그런데 이 세포 속에는 수천 개의 유전인자가 들어있으며 그것이 태아의 특정과 성장의 계열을 결정한다. 그러나 생득적인 유전인자가 한 인간의 기본적 속성과 성장의 계열을 결정..

◈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발생학적 인식론에 근거하여 인지능력이 어떻게 발생하는가에 대한 인식론에 관심이 있다. 따라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주변을 인지하고 사고하는 능력이 어떤 경로와 과정을 거쳐 구조적으로 변화하는지에 대한 질적 접근을 제시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피아제는 인지발달을 동화와 조절이라는 인지 작용을 통해 평형화에 이르는 과정이라고 했다. 이때, 동화란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용해 확장하는 것을 말하며, 조절이란 이 도식을 새로운 정보에 맞게 수정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평형화란 동화와 조절을 거쳐 도식을 다시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성을 말한다. 다시 말해,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사고 수준과 경험인 도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지능에 대한 심리측정적 접근은 정신능력에 있어서 개인차를 강조하고 지능을 구성하는 요인들의 개인차와 관련하여 지능을 이해하려고 하였다. 지능 연구 초기에는 지능이 단일한 개념으로 인식되어 오다가 전통적인 지능검사들이 측정하고 있는 지적 영역이 너무 협소함을 주장하면서 L. L. Thurstone이나 J. P. Guilford와 같은 학자들이 지능은 여러 개의 독립된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다중지능을 이론화하기 시작했다. Spearman의 일반 요인설 Spearman은 모든 지적 능력이 한 가지 핵심적 요인을 공유하고 있다고 보았으며 이를 일반 정신능력, 즉 G요인이라고 하였다. G요인은 인간이 행하는 모든 지적인 과제 수행, 즉 일반적인 지적 과제 수행에 관여하며, 이러한 G요인 이외에 특정한 과제 수..

정신분석 비평(Psychoanalysis Criticism) 정신분석 비평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미켈란젤로의 모세상"과 "세 개의 작은 상자의 테마"와 같은 문학과 예술에 대한 다양한 에세이를 집필한 데서 시작된다. 그 에세이들과 그 밖의 저작에서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발견에 비추어 문화를 해석하는 작업을 창시했다. 예설 작품에 대한 프로이트의 관심은 본질적으로 심리학자의 관심에 기반했고, 그러므로 문학과 관련된 그의 에세이의 대부분은 문학이 어떻게 일정한 심리기제의 작용을 드러내는가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과 예술 작품의 자연적 친화성을 간파했고, 그는 그것에 대해 반복해서 언급했다. 정신분석 비평의 활용 프로이트는 정신분석 비평의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중..

구조주의는 1950년대와 1960년대 프랑스에서부터 그 중요성을 입증한 복합적인 사상운동이다.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까지 롤랑 바르트와 같은 사상가들의 작업은 언어학자와 문학비평가들 사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구조주의의 토대는 대부분 언어 이론을 기초로 한다. 스위스의 언어학자 소쉬르는 언어의 차이는 체계에 있다고 주장하며 구조주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다음은 구조주의의 공헌, 문학연구, 영향을 바탕으로한 구조주의 이론의 특징과 개념이다. 구조주의 이론 : 특징, 공헌 현대 사상에 구조주의가 공헌한 것 중 하나는 모든 인간 활동은 자연적이거나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관습의 체계가 그 체계 속에 정렬되어 있는 특정한 내용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

거울 속에 비친 내 모습이 진짜 내 모습이라고 믿는가? 우리는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을 진짜 나의 모습과 동일시하며 살아간다. 자크 라캉의 거울 단계는 이러한 거울의 비친 이미지 속의 '나'는 나의 '진짜'모습이 아니라고 말한다. 라캉의 거울 단계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라캉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다. 자크 라캉(Jacques Lacan) 자크 라캉은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로 1901년 파리에서 출생했다. 그는 대학에서 정신병리학을 공부했고 그것으로 의학 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1930년대 그는 무의식의 정신세계를 언어학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한 인간의 무의식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언어의 전반적인 구조라고 말하며 무의식의 분석에 언어적 모형을 적용했다. 간단히 말해, 그는 무의식은 언어..

미술관에 방문해 예술 작품을 보아도 어떤 감흥도 느끼지 못한 적이 있는가? 미술관에 결려있는 걸작이라는 그림들을 보아도, 정작 나에게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는다면 그 방문은 그저 허무한 경험으로 남을 것이다. 알랭 드 보통의 영혼의 미술관은 대중들이 그림을 보고 그런 감정을 느끼게 하는 주류 미술계가 미술을 대하는 방식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표어를 거부하고, 예술 작품이 어떠한 목적이 있어 사람들이 예술이 어떠한 목적의 도구로 쓰이는지 이해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앞서도 말했듯이, 알랭 드 보통은 예술을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 도구로서 보겠다고 하며 이 책을 써 내려간다. 이 책이 말하는 도구로서의 예술은 관람자를 이끌고 위로해 그들이 보다 나은 존재가 되도록 하는 치유 ..

도서명 : 영화 글쓰기 강의 지은이 : 강유정 출판사 : 북바이북 책이 독자의 눈길을 끄는 제목을 갖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영화와 책을 모두 좋아하는 나로서는 우연히 서점에 가서 발견한 이 책을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영화에 관한 글을 잘 써 내려가고 싶지만 방법을 몰랐던 모두에게 지침서가 될 수 있을만한 이 책의 제목은 바로, "영화 글쓰기 강의"이다. 혹시 영화에 관한 블로그를 운영해보고 싶으신가? 아니면, 그 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영화에 관한 나의 글을 특정한 매체에 기재하고 싶으신가? 영화 평론을 전문적으로 해온 글쓴이는 우리가 영화에 대한 글을 쓰고 싶다는 소망을 이룰 수 있도록 글을 쓰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준다. 서두에서, 작가는 우리에게 최초의 글쓰기였을지 모를 '일기 쓰기'와 '카드..

도서명 : 선량한 차별주의자 지은이 : 김지혜 출판사 : 창비 김지혜 작가의 "선량한 차별주의자"는 읽는 내내 어떠한 불편함을 독자들에게 선사한다. 그도 그럴 것이, 책은 우리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던 수많은 차별들을 수면 밖으로 끄집어내어 끊임없이 보여주기 때문이다. 명백한 피해자가 존재하는 차별과 그것이 차별인지도 몰랐던 사람들이 느끼는 불쾌감 사이에서, 책은 우리에게 이제는 그것을 의식하고 깨닫기를 요구한다. 그렇다면,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은 선량한 차별주의자인가? 도무지 공존할 수 없을 것 같은 두 단어가 만들어내는 역설은 책이 독자의 호기심을 끌기 충분하게 만든다. 차별의 언어들 책은 "결정장애"와 관련된 작가의 일화를 소개하며 시작한다. 우리는 결정을 잘 내리지 못하고 우유부단하게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