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영문학 (11)
해피채고의 영문학과 인문학 나들이

IBT 토플이란 인터넷 기반의 시험으로 수험생이 대학 수준의 영어실력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영역을 모두 평가하는 통합 시험으로 수험생이 대학 수준의 학습을 해나갈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총 120점 만점으로 구성되는 이 시험은 난이도가 쉽지 않기 때문에 통상 100점을 넘기면 좋은 성적을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 테스트하는 네 가지 영역 중 어느 한 부분에 비중이 더 쏠린 곳 없이 각 파트를 30점씩 점수를 나누어 매긴다. 그러나 , 말하기와 쓰기의 경우 통합형 문제가 나와, 특정 지문을 듣거나 읽고 말하는 문제 혹은 쓰는 문제 또한 출제된다. 구입 계기 토플을 공부해보려고 산 책은 아니었고 다른 영어 관련 시험을 준비하다가 토플 수준의..

돈호법(apostrophe) 사람이 아닌 추상적인 개념, 무생물, 이미 사망한 사람, 그 장소에 없는 사람 등이 마치 그 현장에 존재하며, 화자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것처럼 부르는 수사법을 말한다. 다시 말해, 화자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이나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물건이나 사람에게 말하듯이 이야기하는 것을 돈호법이라고 부른다. 수사학적 질문(rhetorical question) 어떠한 물음에 대한 대답이 너무나 명백하기 때문에 대답을 요구하지 않는 질문을 수사학적 질문이라고 한다. 수사학적 질문은 화자나 글쓴이의 말을 강조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한 대화나 글에서 많이 사용된다. 수사학적 질문이 가지는 특징에는 그 질문이 답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대답이 자명한..

민병철 유폰으로 전화영어를 시작한 것은 작년(2019) 12월 말부터니까 지금은 6개월 정도를 수강하고 있는 셈입니다. 전화영어는 민병철 유폰이 처음이라 다른 업체들은 별로 알아보지 않고 시작했다는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민병철 유폰 시작 계기 말하기 연습을 위해 쉐도잉을 하기는 했지만 실제 말하기에서 이것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테스트해 볼 기회가 없었고, 아무래도 영어를 말하는 것 자체가 어색하다는 느낌도 있어서 영어 말하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이고 싶었습니다. 전반적인 영어 말하기 실력도 높이고 싶었기에 주저하지 않고 바로 무료 테스트를 신청했고 그때부터 수강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전화 영어를 시작하고, 연말과 연초에 이것저것 계획을 세우면서 오픽 테스트를 응시해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사실 ..

비극이란 희곡의 한 종류이다. 희곡(drama)이란 극장이나 무대에서 공연하기 위해 쓰인 문학의 형식으로, 배우들이 각각 배역을 맡아 희곡에서 지시된 연기와 대화를 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비극(tragedy)과 희극(comedy)은 희곡의 중요한 유형이다. 비극(tragedy) 문학적인 의미의 비극이란 극작품의 주인공(protagonist)에게 큰 재난과 고통을 초래하는 중요한 행동들을 문학적이고 극적으로 재현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문학적인 의미에서, 비극 안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은 실제로 발생하는 사건이 아닌, 허구적인 것으로 비극은 하나의 예술 형식이다. 극작품 속 비극의 희생자(tragic victim)는 자신에게 일어나는 상황을 늘 알고 있으며, 그는 그것으로 인해 고통을 겪고, 또한 그 고통..

소설(fiction)이란 기본적으로 문학적 이야기(literary narrative)를 지칭한다. 이때, 소설은 여러 가지 문학적 이야기들을 모두 포괄하는 뜻으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소설은 크게 장편 소설과 단편 소설로 나눌 수 있다. 장편 소설(novel) 장편 소설(novel)이란 성격들(characters), 액션(action), 사건(event), 플롯(plot)을 포함한 산문 이야기를 말한다. 이러한 장편 소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먼저, 장편 소설은 가능성, 사실성(realism)과 현실성(realism)을 가짐과 동시에 개연성이 있어야 하며 내용 전개에 충실한 과정을 가져야 한다. 또한 장편 소설은 일종의 긴 산문 이야기로 현재 혹은 아주 최근에 일어난 과거의 이야기를 ..

문학 작품에서는 수많은 아이러니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러니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아이러니의 종류는 크게 언어상의 아이러니(verbal irony), 극적 아이러니(dramatic irony), 구조적 아이러니(structural irony),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Socratic irony), 우주적 아이러니(cosmic irony; the irony of fate), 그리고 낭만적 아이러니(romantic irony)가 있다. 아이러니의 종류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기 전에, 과연 아이러니란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아야 한다. 아이러니의 기본적인 정의는 단어들이 글자 그대로 드러나는 의미의 반대를 표현하도록 사용되어지는 것을 말한다. 간단히 말해, 단어들의 반어적인 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문학 작품을 읽는 데 있어서 알레고리(allegory)를 이해하는 것은 작품에 전반적으로 펴져있는 주요하고 주된 상징이나 비유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알레고리는 은유나 직유와는 다르게 작품 전체에 걸쳐서 나타나며, 길게 지속되고, 더 충만한 의미를 가집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알레고리는 표면적 의미와 이면적 의미를 모두 가지도록 설계된 이야기에서 나타난다. 그렇다면 이제, 알레고리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들과 유형, 알레고리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알레고리의 특징 첫째로, 알레고리는 의미의 많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알레고리의 각 요소들은 오직 하나의 의미만을 가진다. 이는 은유나 상징과는 다른 알레고리의 특성으로, 각 요소와 의미의 관계는 정확히 1:1로 등가물이 반..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의 대표작 중 하나인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The Picture of Dorian Gray)"은 그의 유미주의적 작품세계를 아주 잘 보여준다.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는 아름다움의 창조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작가로 예술은 예술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니,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의 주인공 도리언 그레이가 그렇게도 아름다운 외모를 가지고 있던 것은 절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우리는 으레 오사카 와일드라고 하면 동화 "행복한 왕자"를 떠올려 그의 이 작품이 조금은 괴팍하게 느껴질지도 모르지만, 두 작품이 지향하는 바는 크게 다르지 않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줄거리 백옥 같이 고운 피부, 붉은 입술, 날카로운 콧날.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을 다..

문학의 수사법에는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직유와 은유 말고도 환유, 제유, 의인법, 말재롱, 과장법(overstatement), 그리고 understatement가 있다. 이러한 문학의 수사법은 모두 문학작품에서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문학이 가지는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학의 수사법들 중 환유, 제유, 의인법, 말재롱, 과장법(hyperbole)과 understatement를 예시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다. 환유 / 환유법(metonymy) 환유 혹은 환유법이란 하나의 명확한 단어 대신 그것과 비슷하거나 가까운 다른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름에 변화를 주며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영어로는 "name change"라고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the Bench(판사석)을..

문학은 하나의 메시지를 독자들에게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수사법을 사용한다. 문학의 수사법에는 제유, 환유, 의인법, 직유, 은유, 돈호법 등 많은 방법들이 있다. 그중에서도, 직유법과 은유법은 가장 기본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수사법의 하나이다. 직유(simile) / 직유법 학창 시절에 너무나 자주 들어왔던 이 직유법은 영어로는 simile라는 이름을 가진다. 이러한 직유(simile)는 한 개의 사물을 다른 사물에 비유하는 수사의 하나이다. 직유는 그 메시지 속에 함축된 의미, 혹은 내재된 의미를 가지지 않고 명시적이고 직접적으로 자기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한다. 따라서 '같이(like), ' '처럼(as), ' '보다(than)' 등의 표현을 사용해 두 가지 대상을 비교한다. 다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