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2)
해피채고의 영문학과 인문학 나들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pbrsq/btqEzjggoxx/VmMGEC8lEXasYMYQhF8b60/img.png)
IBT 토플이란 인터넷 기반의 시험으로 수험생이 대학 수준의 영어실력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영역을 모두 평가하는 통합 시험으로 수험생이 대학 수준의 학습을 해나갈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총 120점 만점으로 구성되는 이 시험은 난이도가 쉽지 않기 때문에 통상 100점을 넘기면 좋은 성적을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 테스트하는 네 가지 영역 중 어느 한 부분에 비중이 더 쏠린 곳 없이 각 파트를 30점씩 점수를 나누어 매긴다. 그러나 , 말하기와 쓰기의 경우 통합형 문제가 나와, 특정 지문을 듣거나 읽고 말하는 문제 혹은 쓰는 문제 또한 출제된다. 구입 계기 토플을 공부해보려고 산 책은 아니었고 다른 영어 관련 시험을 준비하다가 토플 수준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29uJ/btqEzhWvsa3/Wpvu3AFHUeQehKosQkJdU0/img.jpg)
돈호법(apostrophe) 사람이 아닌 추상적인 개념, 무생물, 이미 사망한 사람, 그 장소에 없는 사람 등이 마치 그 현장에 존재하며, 화자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것처럼 부르는 수사법을 말한다. 다시 말해, 화자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이나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물건이나 사람에게 말하듯이 이야기하는 것을 돈호법이라고 부른다. 수사학적 질문(rhetorical question) 어떠한 물음에 대한 대답이 너무나 명백하기 때문에 대답을 요구하지 않는 질문을 수사학적 질문이라고 한다. 수사학적 질문은 화자나 글쓴이의 말을 강조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한 대화나 글에서 많이 사용된다. 수사학적 질문이 가지는 특징에는 그 질문이 답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대답이 자명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VCzh/btqEwhcpBku/eUB9upfPARsaiSd3nHLev0/img.png)
민병철 유폰으로 전화영어를 시작한 것은 작년(2019) 12월 말부터니까 지금은 6개월 정도를 수강하고 있는 셈입니다. 전화영어는 민병철 유폰이 처음이라 다른 업체들은 별로 알아보지 않고 시작했다는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민병철 유폰 시작 계기 말하기 연습을 위해 쉐도잉을 하기는 했지만 실제 말하기에서 이것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테스트해 볼 기회가 없었고, 아무래도 영어를 말하는 것 자체가 어색하다는 느낌도 있어서 영어 말하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이고 싶었습니다. 전반적인 영어 말하기 실력도 높이고 싶었기에 주저하지 않고 바로 무료 테스트를 신청했고 그때부터 수강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전화 영어를 시작하고, 연말과 연초에 이것저것 계획을 세우면서 오픽 테스트를 응시해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사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1GhYf/btqEqsx5aUK/jg5KIOTs7kdmKc9gBNBZY0/img.png)
◈ 길포드(Guilford)의 지능 구조모형(Structure of Intellect : SOI) SOI(Structure of intellect) 이론 : 길포드는 Thurstone의 제시했던 7가지 기본정신능력을 확장해, 지능 구조모형을 제안하였다. 길포드는 기존의 전통적인 지능검사가 기억력과 같은 지적 기능은 지나치게 강조하는데 비해, 확산적 사고방식 등을 무시했다고 말한다. 전통적인 지능 이론들의 일차원적인 지능은 두 개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사고를 해야 하는 확산적 사고방식에 적합한 설명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는 지능을 일차원적 관점이 아닌,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려는 시도를 했다. 지능 모형 : 다차원적인 인간의 지능은 내용 차원, 조작 차원, 산출 차원의 세 가지 영역이 상호 독립적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VnUe/btqEsgC54da/m7piQyLkMNETfJ0pQG2dkK/img.png)
인간발달의 원리 인간은 지적 특성, 신체적 특성, 정의적 특성을 가지는데, 인간의 발달은 이러한 특성들의 발달과 함께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간의 발달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그 안에는 몇 가지의 원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의 발달 원리를 아는 것은 인간발달 현상을 이해하고 인간이 어떤 과정을 거쳐 성장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여러 학자들이 주장한 인간발달의 원리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발달은 생득적인 유전과 후천적인 환경의 상호작용을 거쳐 이루어진다. 임신 당시의 인간은 매우 조그만 단세포에 불과하다. 그런데 이 세포 속에는 수천 개의 유전인자가 들어있으며 그것이 태아의 특정과 성장의 계열을 결정한다. 그러나 생득적인 유전인자가 한 인간의 기본적 속성과 성장의 계열을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