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해피채고의 영문학과 인문학 나들이

문학의 수사법 : 직유 은유, 직유법 은유법 뜻, 차이, 예시 - 문학작품 예시로 알아보기 본문

영문학

문학의 수사법 : 직유 은유, 직유법 은유법 뜻, 차이, 예시 - 문학작품 예시로 알아보기

영문학석사 2020. 4. 26. 16:21

직유 은유 / 직유법 은유법

문학은 하나의 메시지를 독자들에게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수사법을 사용한다. 문학의 수사법에는 제유, 환유, 의인법, 직유, 은유, 돈호법 등 많은 방법들이 있다. 그중에서도, 직유법과 은유법은 가장 기본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수사법의 하나이다. 

 

직유(simile) / 직유법

학창 시절에 너무나 자주 들어왔던 이 직유법은 영어로는 simile라는 이름을 가진다. 이러한 직유(simile)는 한 개의 사물을 다른 사물에 비유하는 수사의 하나이다. 직유는 그 메시지 속에 함축된 의미, 혹은 내재된 의미를 가지지 않고 명시적이고 직접적으로 자기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한다. 따라서 '같이(like), ' '처럼(as), ' '보다(than)' 등의 표현을 사용해 두 가지 대상을 비교한다. 

 

다음은 직유 혹은 직유법(simile)의 예시이다. 

 

Sarah is more beautiful than a tulip. (Sarah는 튤립보다 더 아름답다.)

I run as fast as a car. (나는 차처럼 빨리 달린다.)

You are like a blue, blue tulip. (당신은 푸르디푸른 튤립 같다.)

 

보시는 것처럼 이러한 직유는 명백하게 다른 두 개의 대상들을 명시적으로 비교(explicit comparison)할 때 사용된다. 영어의 경우 때로는 'appear, ' 'seem'과 같은 동사도 직유를 만든다. "He seems a dove." 같은 문장에서 동사들도 직유를 만들 수 있다. 로버트 번즈(Robert Burns)의 시 "A Red, Red Rose"에서 직유법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은유(metaphor) / 은유법 

영어로는 metaphor라고 불리는 은유 혹은 은유법은 문자 그대로(literally)는 공존할 수 없는 두 가지 대상들의 일치를 주장한다. 직유가 명시적인 비교였던 것에 반해 은유는 두 가지 대상들을 일치시킨다. 만약 누군가가 "O my love is a blue, blue tulip"이라고 했다면 이것은 직유가 아닌 은유이다. 작가나 화자가 A가 실제로는 B와 같지 않으나 B와 동일한 무엇이라고 주장할 때 이 또한 은유라고 한다. 이 처럼 은유는 한 가지 메시지 혹은 생각을 표현하는 데 두 개의 개념(idea)을 사용하므로, 이 둘을 혼동한다면 의미를 파악하는 데 지장이 생길 수 있다. 

 

은유법의 종류 : 명시적 은유(explicit metaphor)와 함축적 은유(implicit metaphor)

이러한 은유 혹은 은유법은 명시적 은유(explict metaphor)와 함축적 은유(implicit metaphor)로 나뉠 수 있다.

 

명시적 은유(explicit metaphor): 직유법(simile)처럼 일치하는 대상이 어느 정도는 명백하게 드러나는 것을 명시적 은유라고 한다. "You are a dog"에서는 'you'가 'dog'가 가진 외연적 의미(literal denotation)들 중 하나인 'a worthless person(가치 없는 사람)'으로 명시적으로 드러난다. 'You are a rose'에서도 'you'가 'rose'가 가진 외연적 의미(literal denotation) 중 하나인 'a beautiful person(아름다운 여인)'으로 명시적으로 드러난다.   

  

함축적 은유(implicit metaphor): 함축적 은유(implicit metahpor)에서의 일치는 직접적으로 진술되기보다는 함축되어 있다. A=B의 등식이 명시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말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더 깊은 통찰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서, 이형기 시인의 '낙화'라는 시를 살펴보면 "나의 청춘은 꽃답게 죽는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서 "나의 청춘"은 "꽃"과 동일시되지만 이것은 'A는 B다'처럼 명시적으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명시적 은유(explicit metaphor)와 함축적 은유(implicit metaphor)의 구분?

이는 원관념(tenor)과 보조관념(vehicle)의 개념을 도입해 설명할 수 있다. 원관념(tenor)은 그 자체로 자의적인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의미한다. 보조관념(vehicle)은 자의적인 의미와 일치시킨 혹은 비유된 은유적인 단어 그 자체를 말한다. 따라서 은유는 원관념(tenor)과 보조관념(vehicle)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명시적 은유에서는 원관념이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반면에 함축적 은유에서는 원관념이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에서 둘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은유의 목적은 보조관념(vehicle)의 함축들(connotations)이나 보조관념으로 발생되는 연상들(associations)을 원관념(tenor)에 연결시켜 글자 그대로의 진술보다 더 많은 것을 말하고자 하는 데 있다. 

 

 

직유(siimile)와 은유(metaphor)의 차이 / 직유법과 은유법의 차이

 

직유법과 은유법을 구별하는 방법은 상당히 간단하다. 어떤 두 대상을 비교하는데 '처럼(like)', '같이(like)', '보다(than)', '만큼(as)' 같은 연결어가 있다면 이는 직유법이다. 그러나 A=B와 같은 등식이 성립되거나 아예 이러한 등식조차 표현에 드러나지 않는다면 이는 은유법을 사용한 것이다. 

 


이상으로, 직유와 은유 혹은 직유법과 은유법의 정의와 예시를 알아보고 은유법의 종류 중 명시적 은유와 함축적 은유에 대해 알아보았고 마지막으로 직유법과 은유법의 간단한 차이까지 설명해보았다. 은유와 직유는 문학 작품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아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직유와 은유가 우리의 일상 언어에 더해졌을 때 우리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더 깊고 풍부해지게 될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