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해피채고의 영문학과 인문학 나들이

문학의 수사법 : 환유 제유 / 환유법 제유법, 의인법, 말재롱, 과장법, 곡언법, understatement(절제된 표현) : 예시와 함께 알아보기 본문

영문학

문학의 수사법 : 환유 제유 / 환유법 제유법, 의인법, 말재롱, 과장법, 곡언법, understatement(절제된 표현) : 예시와 함께 알아보기

영문학석사 2020. 4. 29. 11:37

문학의 수사법에는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직유와 은유 말고도 환유, 제유, 의인법, 말재롱, 과장법(overstatement), 그리고 understatement가 있다. 이러한 문학의 수사법은 모두 문학작품에서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문학이 가지는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학의 수사법들 중 환유, 제유, 의인법, 말재롱, 과장법(hyperbole)과 understatement를 예시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다. 

 

  • 환유 / 환유법(metonymy)

환유 혹은 환유법이란 하나의 명확한 단어 대신 그것과 비슷하거나 가까운 다른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름에 변화를 주며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영어로는 "name change"라고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the Bench(판사석)을 the court(법정)으로 표현한다던지, coffee spoons를 social round(사교 방문)으로 표현하는 것 등이 모두 환유의 예시이다. 조금 더 문학적인 예시로는 연약한 여자를 'the weak vessel'이라고 표현하거나 여자를 'petticoat'로, 남자를 'doublet and hose'로 표현하는 것 등이 있다. 

 

참고) 셰익스피어는 사람의 이름이지만, 그가 쓴 작품 전체를 총칭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Shakespeare는 'the writings of Shakespeare'를 뜻하고, 이는 환칭의(antonomasia) 예가 된다.

 

  • 제유(synecdoche)

제유 혹은 제유법이란 어떤 단어가 속한 집단의 전체가 한 부분을 의미하거나 한 부분이 전체를 의미하도록 해당 단어를 사용하는 수사법을 말한다. 이러한 제유법은 속한 집단의 전체가 한 부분을 의미하도록 쓰이는 경우보다, 한 부분이 전체를 의미하도록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먼저, 속한 집단의 전체가 한 부분을 의미하도록 하는 예시에는 creature가 a man을 뜻하도록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한 부분이 전체를 의미하도록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Blade(칼날)이 sword(검)으로 사용되는 경우, bread(빵)이 meal(식사)을 의미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hands(손)이 men(사람)으로 사용되는 경우 등은 모두 제유법이 부분이 전체를 의미하도록 사용된 경우이다.

 

 

  • 의인법(personification)

의인법이란 인간이 아닌 비인간들(non-humans)을 마치 인간들(humans)인 것 처럼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의 비인간들은 어떤 사물, 추상, 자질과 같은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장미야, 너의 뺨에 붉게 물든 홍조는 왜 그렇게 곱니?"라는 표현이 있을 때, 여기서 사람이 아닌 장미에게 마친 사람인 것처럼 묻고 있으므로 이는 의인법의 예시이다. 의인법의 예시는 문학작품에서 곧 잘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석정 시인의 "바다에게 주는 시"에서 화자는 바다가 속삭이며 수다스럽다고 표현하며 바다를 마치 사람인 것처럼 표현한다.  

 

 

  • 말재롱(pun / wordplay)

단어가 가진 소리가 같아 동음(homonym)을 가지고 있지만, 뜻은 전혀 다른 단어들이 가지고 오는 일종의 말장난을 말재롱이라고 한다. 말재롱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은 구분되는 다른 두 가지의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맥상 아주 미묘하고 오묘한 의미를 만든다. 말재롱에서는 항상 하나 이상의 뜻을 가지고 오기 때문에, 말재롱을 사용하며, 시의 의미가 매우 풍부해진다. 셰익스피어는 이러한 말재롱을 자유자재로 썼던 작가 중 하나이다. 셰익스피어의 헴릿(Hemlet)에 나오는 너무 유명한 구절인 "I am too much in the sun."은 제발 자신을 아들이라고 부르지 말아 달라고 청하는 헴릿의 메시지가 전해지면서 극을 풍부하게 만든다.

 

 

  • 과장법(hyperbole / overstatement) 

과장법(hyperbole)은 어떤 대상을 과장되고 지나치게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John hasn't come to see her for ages"라는 표현이 있을 때, John이 몇 시대를 만나러 오지 않는다고 표현하며 그가 그녀를 만나러 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과장한다.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에서도 양귀비도, 맨드레이크도, 세상의 어떤 수면제, 어떤 약도 당신이 어제(yesterday)에 소유했던 달콤한 잠에 비유할 수 없다며 과장법(hyperbole / overstatement)을 사용한다. 

 

 

  • Understatement(절제된 표현)

Understatement는 과장법(hyperbole)에 반대되는 것으로 어떤 대상의 중요성이나 그 규모를 실제보다 훨씬 축소시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즉, 어떤 대상을 실제보다 훨씬 적게, 혹은 작게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understatement의 절제된 표현은 반어적(ironic)한 표현으로 반어적인 효과를 준다. 예를 들어, 아이를 잃은 부모가 장례식장에서 "그저 묵묵히 서있었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그들의 슬픔을 드러내지 않고 절제되고 담담하게 표현한 것이다. 문학작품의 예시로는 세이머스 히니(Seamus Heaney)의 "Mid-Term Break(방학)"을 들 수 있다. 시에서 아들을 잃은 어머니가 그저 눈물 없는 성난 한숨을 쉬었다고 표현한 것은 지나치게 감상적인 상태로 빠지지 않으려 화자가 사용한 understatement이다. 

 

 

  • 곡언법(litotes)

곡언법(litotes)은 understatement의 한 형태로 무엇인가를 주장할 때, 그것의 반대를 부정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피력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He is no fool."이라는 말은 "그는 바보가 아니다"라는 뜻으로 "그가 현명하다"라는 말을 하고 싶은 경우에, 'wise'의 반대 의미를 가진 'fool'을 사용함으로써 "그가 현명하다"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Not bad"라는 말도 "그것이 괜찮다"라고 말하고 싶은 경우에 'good'의 반대말인 'bad'를 사용해 "괜찮다"라는 의미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문학은 여러 가지 수사법들을 사용해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말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자아낸다. 작가는 문장 하나, 단어 하나를 허투루 쓰는 경우가 없다. 문학작품을 읽을 때, 이 작가 혹은 화자가 왜 이러한 표현을 사용했는지 생각하며 읽는 것도 작품을 읽는 재미를 더해줄 것이다. 지금까지, 문학의 수사법 중 환유(metonymy), 제유(snyecdoche), 의인법(personification), 말재롱(pun), 과장법(hyberbole), understatement, 곡언법(litotes)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Comments